

탈장교정술
St.Mary's K surgery clinic
탈장교정술
탈장이란 복벽에 구멍이 뚫리거나 복벽을 받치고 있는 구조물의 탄력이 저하되면서 복압에 의해 복강내의 장기들이 복강 외부로 튀어나가는
질환입니다.
모든 탈장은 초음파로 쉽게 확진합니다. 금식이 필요 없으며 1분이내의 검사로 진단합니다.
초음파를 할 때 탈장구멍에 장기가 끼어있으면 진단이 쉽습니다.
하지만 감돈이 되어서 병원에 오는 경우가 대부분은 아니기 때문에 초음파진단 경험이 없으면 어렵습니다.
따라서 진단에 대한 초음파 경험이 충분히 있는 전문의에게 진료를 받으시는게 좋습니다.

health health health health health
St.Mary's K surgery clinic
서혜부탈장이란?
가장 흔한 형태가 사타구니 부위에 생기는 서혜부 탈장입니다.
서혜부 탈장은 복강내에서 발생되는 구멍의 위치에 따라 아래 그림과 같이 4종류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St.Mary's K surgery clinic
서혜부탈장 수술방법
-
way 01
절개수술
절개탈장교정술
-
way 02
복막외접근법
복강경 복막외접근 탈장교정술 (TEP:totally extraperitoneal hernioplasty)
-
way 03
복강내접근법
복강경 복강내접근 탈장교정술(TAPP:transabdominal preperitoneal hernioplasty)
성모K외과의
단일통로 복강경 탈장수술(TEP)의 장점
-
수술 후 재발 가능성이 낮습니다.
-
수술과 마취 시간이 짧으며, 적은 입원 기간으로 빠른 일상 복귀가 가능합니다.
-
개복수술에 비해 흉터가 매우 작으며, 수술 부위에 대한 감염도 적습니다.
-
단일통로 복강경 수술 방법으로 단 한곳에만 절개하여 진행하므로 통증이 덜하며 미용적으로 탁월합니다.
St.Mary's K surgery clinic
배꼽(제대)탈장 & 복벽탈장이란?
배꼽은 탯줄이 연결되어 원래 열려 있던 구조물로 출생 직후부터 점점 작아져 거의 보이지 않게 폐색이 되는 구조입니다.
하지만 약간의 자연 개구부는 존재합니다. 이 작은 개구부가 복부 비만, 임신 등의 원인에 의해
복압이 증가하면서 넓어지고 배속의 장기가 이 구멍을 통해 튀어나오게 되는데, 이 현상을 배꼽탈장이라고 합니다.
복벽탈장은 배꼽 이외의 부분에 배꼽 탈장과 비슷하게 증상이 나타나는 것으로 이 부위의 구멍은 선천적으로 존재하다가 성인이 되어 증상이 발현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며,
수술 방법은 배꼽 탈장과 같습니다. 진단은 증상이 있는 부위에 초음파로 복벽의 결손을 확인하는 것으로 확진합니다.

배꼽 아래쪽근막이 완전히 아물지 않아 이 틈으로 장이 탈출하는 현상

근막이 약한 부분 에 압력이 가해지며 장이 탈출하는 현상
배꼽탈장과 복벽탈장의 수술은 결손부위에 피부절개를 가하여 결손부위를 녹지 않는 실로 봉합해주면 완료됩니다.
하지만 결손부위의 크기가 3cm 를 초과하면 인공막을 사용하여 추가 보강을 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증상이 있으면, 빠르게 수술을 하는게 좋습니다.
St.Mary's K surgery clinic
절개탈장(반흔탈장)이란?
절개 탈장이란 이전 복부에 수술을 받을 때 절개를 가했던 부분이 수술후에 다시 열리면서 그 부분으로 복강내의 장기가 돌출되는 질환입니다.
복부 수술환자의 1~5%까지 발생한다는 보고가 있으며, 복부 수술을 받은 모든 환자에게서 발생가능합니다.
가장 대표적인 원인으로는 절개부위의 염증으로 인한 상처 치유 지연과, 콜라겐 저하 질환입니다.
증상은 절개부분이 튀어나오는 증상이며, 초음파로 진단할 수 있습니다. 수술은 대부분 복강경으로 진행하며, 인공막을 사용해야 합니다.

이전 복부 수술 절개 부위에 장이 탈출하는 현상
절개탈장의 재발을 줄이기 위해서는 가능하면 작은 크기일 때 수술을 받는 것이 유리하며 수술직후에 바로 발생하더라도 지켜보지 말고 바로 수술을
받아야 합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탈장부위의 크기는 점차 커지며 수술이 불가능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